신학 89

[평신도를 위한 알기쉬운 신학강좌-11. 역사와 종말 : 시간과 영원] ④ 하나님 나라의 완성

‘종말’을 인과응보식 심판으로 인식 말아야 구원과 은혜로 ‘하나님 나라가 완성’되는 날 이 역사와 우주는 어떤 미래를 맞을 것인가? 이는 종말에 대한 질문이다. ‘종말’은 기독교인뿐만 아니라 많은 사람의 관심사다. 여러 종교, 철학, 이념, 역사가 종말에 대해 말한다. 성경도 종..

신학/조직신학 2017.09.22

[평신도를 위한 알기쉬운 신학강좌-11. 역사와 종말 : 시간과 영원] ③ 부활신앙

부활신앙은 기독교의 생명력 기독교 신앙은 부활신앙이다. 부활이 기독교를 다른 모든 종교와 구별하게 한다. 우리를 기독교인으로 만들고 근원적으로 새롭게 만든 것은 부활신앙이다. 기독교의 생명력은 부활신앙에서 결정된다. 역사적으로 기독교가 얼마나 역동적이며 활기가 있었는..

신학/조직신학 2017.09.22

[평신도를 위한 알기쉬운 신학강좌-11. 역사와 종말 : 시간과 영원] ② 죽음

죽음은 삶을 정리하고 부활로 가는 과정 각자의 인격성 유지하고 하나님 앞에 서 수명 100세 시대가 되면서 많은 사람들이 ‘잘 죽는 것(well-dying)’에 대해 고민한다. 어떻게 죽어야 하는가. 기독교인은 여기에 몇 가지 질문이 더해진다. 성경은 죽음을 뭐라고 말하는가. 죽음 이후에는 어..

신학/조직신학 2017.09.22

[평신도를 위한 알기쉬운 신학강좌-11. 역사와 종말 : 시간과 영원] ① 역사와 종말의 만남

역사는 ‘창조’에서 시작해 ‘종말’에서 완성 둘 사이를 잇는 현재는 하나님 섭리가 인도 기독교를 성격지우는 중요한 특징들이 있다. 그중에 하나는 기독교가 ‘역사적’이면서 ‘종말론적’이라는 점이다. 왜 이런 특징이 나왔는지를 보고, 그것이 기독교 신앙에 어떤 의미가 있는..

신학/조직신학 2017.09.22

[평신도를 위한 알기쉬운 신학강좌-10. 기독교와 미래 : 21세기의 도전 ] ④ 보편성과 다원성&평신도 신학

우리 시대를 보는 다양한 관점이 있다. 오늘은 이 시대를 보편성과 다원성의 차원에서 보려 한다. 보편성과 다원성은 얼핏 서로 상반되는 개념처럼 들리지만 모두 기독교의 진리 체계에 심각한 문제를 제기한다. 이들이 기독교에 어떻게 위기가 되는지, 또 그 대안은 무엇인지 보자. 보편..

신학/조직신학 2017.09.22

[평신도를 위한 알기쉬운 신학강좌-10. 기독교와 미래 : 21세기의 도전] ② 민족의 미래

성경 정신으로 평화통일의 길 밝혀야 한국교회가 직면한 많은 과제가 있지만 지금부터 가까운 미래에 가장 중요한 문제는 남한과 북한의 화해, 통일이다. 그리스도인의 소명은 언제나 구체적인 정황 안에서 일어난다. 자신의 시대와 역사를 떠난 소명은 없다. 그렇기에 교회는 민족에 대..

신학/조직신학 2017.09.22

[평신도를 위한 알기쉬운 신학강좌-9. 삶과 문화 : 소명과 자유] ⑤ 훈련 또 훈련!

경건 연단하듯 기독교적 삶도 훈련 필요 오늘 강좌는 두 가지 질문에서 시작하려 한다. 첫 질문이다. ‘신앙은 있으나 삶이 공허한 이유가 무엇인가.’ 많은 기독교인이 고민하는 주제다. 두 번째 질문이다. ‘기독교 인구는 많은데 왜 기독교 문화가 형성되지 않는가.’ 기독교의 미래를 ..

신학/조직신학 2017.09.22

[평신도를 위한 알기쉬운 신학강좌-9. 삶과 문화 : 소명과 자유] ④ 기독교인의 삶 : 삶이란

복음으로 ‘자유’를 얻는 기독인의 삶 삶을 대하는 태도가 달라지면 실제로 삶이 달라진다. 동일한 사람이 인생관에 따라 다른 삶을 산다. 기독교인이 되면 ‘신앙’을 가진다. 신앙의 관점에 따라 삶을 해석하고, 그때부터 새롭게 삶을 살아야 한다. 오늘은 성경이 삶을 어떻게 보는지, ..

신학/조직신학 2017.09.22

[평신도를 위한 알기쉬운 신학강좌-9. 삶과 문화 : 소명과 자유] ③ 기독교와 세상

기독인 사회책임은 ‘은혜에 대한 응답’ 기독교가 사회참여를 해야 하는지, 혹은 개인 구원에 집중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은 한국교회에서 오래된 주제다. 어떤 사람은 교회의 활동이 종교적 영역에 국한돼야 한다고 주장하고, 어떤 사람은 사회적 영역을 포함한다고 주장한다. 우리는..

신학/조직신학 2017.09.22

[평신도를 위한 알기쉬운 신학강좌-9. 삶과 문화 : 소명과 자유] ② 존엄사

죽음을 잘 받아들이는 것도 은혜다 사랑하는 가족이 죽음 앞에서 참기 어려운 고통을 겪을 때 그것을 지켜보는 사람의 마음은 찢어진다. 어떻게 해야 하는가. 신자들의 고민은 일반인보다 크다. 안락사에 대한 고민에다가 신앙적인 고민이 더해지기 때문이다. 사람은 누구나 죽음에 대해 ..

신학/조직신학 2017.09.22